공짜를 원하는 남자의 논리(15) | |
---|---|
la******* | 2019-01-26 |
사회과학에 존재하는 가부장적인 편견은 사회 전체에 존재하는 남성의 주도권을 확대한 것이다. 남자들은 매력 자본이 어차피 쓸모없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자신의 주요한 이점을 남자들을 상대적으로 이용하는 여성을 저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 자신의 미모나 성적 매력을 드러내놓고 이용하는 여성은 지성이나 다른 '의미 있는' 사회적 자질이 부족한,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무시당한다. 기독교는 특히 섹스나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모든 것을 천하고 불결하다고, 다시말하면 인간성의 비천한 측면에 속한다고 비난하며 악의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이슬람교는 여성의 매력 자본은 전적으로 남편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성에게 집 밖에서는 온몸을 가리고 다니라고 요구한다. 여성이 지닌 특별한 기술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법률도 고안했다. 일례로 영국여성은 전적으로 여성의 활동이라 할 수 있는 대리모 임신에 대해 충분한 대가를 받지 못한다. 만약 남자들이 아기를 낳을 수 있다면 이 일은 세상에거 가장 몸값이 높은 직종 중의 하나가 되겠지만, 남자들은 여성이 이 유일무이한 능력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확실히 못을 박았다. 여성이 매력 자본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남자들이 이용하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무기는 성매매 종사 여성을 낙인찍는 것인데, 여성에게는 그토록 가혹한 낙인이 매춘 남성에게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서양에서 그 오명은 아주 철저하기 때문에 남성만큼 여성도 매춘과 매춘부를 비난할 가능성이 높다. 때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더 거세게 성매매산업의 근절을 요구한다. 이러한 양상은 현재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조장하고 있다. 성모마리아와 창녀, 착한소녀와 나쁜 소녀라는 이분법은 수세기 전부터 사리사욕을 채우려는 남자들이 발전시켰고,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와 함께 여성의 활동이나 외모를 공공장소에서 통제하려는 남성의 의도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성은 자신을 구속하는 남성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되었다. 가부장제는 언제, 왜 생겨났을까? 역사가인 거다 러너는 자기 땅과 재산이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의 생물학적 자녀에게만 상속되기 원하는 남자들에 의해 가부장적인 통제와 권위체계가 발달되었음을 증명했다. 여자들은 아이를 낳기 때문에 자기 아이가 누구 아이인지 안다. 남자들은 결코 자신이 아버지인지에 대해 여자들만큼 확신하지 못한다. 남성은 여성의 성생활과 출산을 통제하기 위해 '괜찮은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 '순수한 여성'과 '순수하지 않은 여성', 한 남자에게 소속된 여성과 그 나머지 여성으로 여성을 구분해야 했다. 결국 성적인 예속과 통제는 여성의 직업과 소득, 심지어는 일할 수 있는 권리나 보호자 없이 집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권리까지 통제하는 상황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여성의 예속은 처음에 성적인 부분에서 시작되었다가 돈과 상속에 대한 걱정에 의해 촉진되었다. '괜찮은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 간의 구분은 종종 옷 입는 스타일이나 외모에 근거한다. 남성의 권위에 순응하지 않거나 복종하지 않는 여성을 화냥년이라고 부르며 평판을 망쳐 놓음으로써 낙인찍는 일은 모두가 서로를 아는 작은 공동체에서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오늘날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외모는 아주 짧은 치마를 입거나 가슴을 드러내는 여성이나 애인을 여럿 둔 소녀를 '걸레'로 분류하는 행위에 의해 통제받는다. 가부장제는 처음 생긴 3500년 전부터 여성의 음란함을 통제하는 일뿐 아니라 공적인 공간에서 여성이 매력 자본을 드러내는 행위를 통제하는 일과 관계가 있었다. 돈 많은 남자와 결혼하려는 아름다운 젊은 여성은 '꽃뱀'으로 낙인찍히고 남자를 부정직하고 부도덕하게 이용한다고 비난받는다. 이러한 비난의 근저에는 남자는 여자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것, 특히 섹스를 공짜로 얻어야 한다는 논리가 깔려 있다. 남자는 돈을 목적으로 일해도 되지만 여자는 그러면 안된다. 여자는 사랑을 위해서라면 자발적으로 모든 것을 무상으로 해 줘야 한다. 안타깝게도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이 이데올로기에 이의를 제기하여 그것을 뒤집으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지지한다. 매력자본이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큰 역할을 함에 따라 매력자본을 보여주는 행위와 여성이 그것을 활용하는 행동에 따라붙는 사회적 오명은 점점 더 심해지는 듯하다. 엄마는 딸에게 자기 자신과 다른 여자를 검열하도록 가르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매력자본에 대한 통제에는 남자보다 여자가 나서는 것처럼 보인다. 언론 매체 또한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어떤 문화에서든 엄마들은 세뇌를 담당하는 주된 인물이다. - <매력 자본> 중 발췌 ================== 책이 재밌고 술술 읽힌다. 매력자본과 섹슈얼리티, 남성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억압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잘 쓰고 있어. 내용 되게 괜찮아~~ |
|
글쓴이 돈주기 ![]() |
뭐야 ㅋㅋㅋ 글이 다섯개야 | ||
ad*****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ㄴ 미안 ㅋㅋㅋ 글 올리는데 계속 오류가 나더니 이렇게 됨. 즉각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 ||
la*******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ㄴ ㅋㅋㅋ 알아 나도 이런 적 있다 ㅋㅋㅋ 언니가 열심히 지우고 있는 거 같아서 댓글 하나만 남김 ㅋㅋㅋ 고생했어요 ! 좋은 글이다 ㅋㅋㅋ 실제로 여자 형제가 낳은 아이를 더 가깝게 느끼는 심리도 있다고 하더라. 백프로 자기 핏줄이니까 |
||
ad*****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ㄴ센스쟁이~~!! | ||
la*******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민음사 캐서린 하킨 꺼야? | ||
wo*****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ㄴ응 언니 맞아 | ||
la*******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읽다보니 이런 구절도 있음 "일부일처제와 성의 독점성에서 당연한 것은 없다. 동물과 조류에서도 일부일처제는 가장 흔한 제도가 아니다. 일부일처제는 모든 남성이 적어도 한 명이 섹스파트너를 확보할 수 있게 해 주는 정치적 전략이다. 그래야 일부다체제 사회에서 종종 나타나는, 가난하고 못생긴 남자가 전적으로 배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일부일처제는 성적 민주주의를 강요한다." 정말 뼈때린다 ㅋㅋㅋ 그래야 "가난하고 못생긴 남자가 전적으로 배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래서 내가 일부일처제랑 결혼제도를 싫어함. 현실에서 정말 결혼하면 안되는 남자들이 버젓이 괜찮은 여자끼고 결혼하는 거 보면 정말 화가난다.. |
||
la*******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좋다 중국속담에 여자가 나쁘게 되면 돈이 생긴다잖아 |
||
al*******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근데 이게 반대로도 해당되는구석이 있음 매력자본으로 끝까지 올라갈수있다면 상류층의 여자도 경계하는게있지 |
||
emi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잘읽엇음 ㅋㅋ | ||
sm*******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덧붙여서 여자의 인격적 매력은 절대로 성적매력을 당해내지 못한다는 편견을 바보같은 인간들이 퍼뜨리는것도 한몫하지. 실상 현실의 좋은 남편들은 여자의 성적매력이 아닌 인격적 매력 때문에 그 여자와 한평생 사는건데도 불구하고. | ||
za****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우연히 읽었는데 글 좋다 ㅋㅋ | ||
gg*******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식당 아줌마한테 이모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이치래. 이모가 고모보다 친근하게 느껴진다고 | ||
ep******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좋다 | ||
ky***** | 2019-01-26 | 답글쓴이 돈주기 ![]() |
이 책 찐이야 다들 한번씩 읽어봤으면 | ||
da***** | 2019-05-23 | 답글쓴이 돈주기 ![]() |
사업자번호: 783-81-0003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서초-0851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93 메트하임 512호
(주) 이드페이퍼 | 대표자: 이종운 | 070-8648-1433